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linux
- 코틀린
- Android 4.1
- 안드로이드 개발
- git
- kotlin
- mime
- ActiveMovieControl
- Android
- 안철수
- 악성코드
- 노개북
- 하버드
- gradle
- OOM
- KTS
- 개발
- 보안
- build.gradle
- 안드로이드
- ActiveX
- 탐지기법
- java
- 자바
- 리눅스
- 구글
- Eclipse
- C++
- c
Archives
- Today
- Total
꿈소년의 개발 이야기
AAR 의존성 추가하기 본문
반응형
aar 파일 의존성을 추가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module/libs 폴더에 넣어두고 의존성을 추가하는 방식
build.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fileTree(dir: "libs", include: ["*.jar", "*.aar"])
}
build.gradle.kts
dependencies {
implementation(fileTree(mapOf("dir" to "libs", "include" to listOf("*.jar", "*.aar"))))
}
2. aar 파일 경로를 추가하는 방식
build.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files('my_path/my_lib.aar')
}
build.gradle.kts
dependencies {
implementation(files("<aar_path>/***.aar"))
}
3. aar 파일을 라이브러리 모듈로 추가하는 방식
build.gradle.kts
configurations.maybeCreate("default")
artifacts.add("default", file("mylib.aar"))
어떤 게 더 좋다는 건 없습니다.
유지 보수와 관리 측면에서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