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clipse
- c
- 노개북
- ActiveX
- 자바
- kotlin
- mime
- 탐지기법
- 개발
- C++
- Android
- 보안
- Android 4.1
- 코틀린
- 구글
- 악성코드
- OOM
- linux
- java
- ActiveMovieControl
- git
- build.gradle
- 하버드
- 안철수
- 안드로이드
- KTS
- 안드로이드 개발
- gradle
- 리눅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34)
꿈소년의 개발 이야기
참조 : http://android-developers.blogspot.com/2011/11/jni-local-reference-changes-in-ics.html JNI local reference 와 관련하여 ICS의 변경사항 및 버그 이슈들에 대한 내용. ENG 와 User 모드일 때 동일한 어플이 다른 실행을 보이는 경우에 간혹 dalvikVM 에서 VM aborting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한 내용으로 다른 참조 내용이 있다. 1.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7864614/android-jni-getobjectclass-crashes-with-sigsegv-not-a-valid-jni-reference JNI 관련 에러에 대한..
참조 : http://samse.tistory.com/121 여기로 가서 보면 빌드 시스템에서 설정된 변수들의 내용과 빌드 시 이동되는 순서가 나와 있다.
출처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718775/define-indirect-subclass-in-android 간단한 설명으로.. class 가 하나 있다. 이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가 되는 자식 클래스는 direct subclass 가 된다. 반면, 이 클래스가 조부모 클래스가 되는 손자 클래스들이 있다. 그게 indirect subclass 가 된다.
Fragment는 Activity와 메뉴 구현 법이 99% 같으나, setHasOptionMenu 를 미리 선 호출하여 메뉴에 대해 기존 것을 이어 받을 것을 선언해주고 구현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onCreate() 부분과 onDestroy() 부분에 setHasOptionMenu 에 대해 true, false 를 각각 넣어 적용해야 합니다.. 참조 : http://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fundamentals/fragments.html Adding items to the Action Bar 섹션을 보면 onCreateOptionMenu()를 통해서 메뉴 생성하는 법은 같지만, 반드시 setHasOptionsMenu를 불러 true를 넣어줘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
출처 : http://javawork.egloos.com/2297723 Integer 관련하여 Java doc 를 보다가 주석이 달린 부분에 이런 글귀가 있었다. java.lang.Integer The wrapper for the primitive type int. Implementation note: The "bit twiddling" methods in this class use techniques described in Henry S. Warren, Jr.'s Hacker's Delight, (Addison Wesley, 2002) and Sean Anderson's Bit Twiddling Hacks. See Also Long Summary Constants int MAX_VALUE Constan..
1. Windows 공유폴더 연결 시. C:\> net use \\공유폴더 /user:account password 2. 자동 로그인 설정으로 인해 공유 폴더 접속이 안 되버리는 경우. 만약 다른 계정으로 접속하려고 한다면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뜨면서 접속이 안됩니다. 시스템 오류 1219이(가) 생겼습니다. 동일한 사용자가 둘 이상의 사용자 이름으로 서버 또는 공유 리소스에 다중 연결할 수 없습니다. 서버나 공유 리소스에 대한 이전 연결을 모두 끊고 다시 시도하십시오. 이때는 리부팅 없이 net use 명령을 이용하면 됩니다. 2-1. 네트워크 연결 리스트 확인 C:\> net use 2-2. 네트워크 공유 폴더 연결끊기 C:\>net use \\공유폴더 /delete 3. 전체 연결끊기 C:\>n..
설치해서 실행하면 각 로그를 보여준다.. 외장 메모리에 저장이 가능하다.
* free 기본 메모리 정보. * cat /proc/meminfo 메모리 정보 확인. * top cpu 점유율 및 메모리 점유율 확인. * cat /proc/[PID]/maps 각 프로세스 PID 에 따른 VIRT 메모리 정보 전체 메모리 중 사용되는 메모리는.. cache + buffer + free => 사용 가능 메모리. 전체 메모리의 20% 이상이면 OK.
ADB (Android Debug Bridge) ADB의 구성 client : development machine에서 동작. shell에서 client를 invocation해서 command 실행 가능. ADT, DDMS도 client server : development machine의 background process이며, client와 daemon 사이에서의 communication을 관리 daemon : 각각의 device에서 동작하는 background process client를 시작하면, ADB server가 실행중인지 확인해서 실행중이지 않으면 server를 시작시킨다. server가 시작되면 TCP의 5037 port로 binding해서 adb client로부터의 command를 받아들이..
Java regexes1. means : Java Regular Expressions 자바 정규 표현식. 문자열에 대한 형식을 기술한다. 정규식 설명예제 .임의의 한 문자(필수)를 의미 합니다.ab.(abc, abd,abe) .. ?바로 앞에 문자가 없거나 하나가 있음을 의미 합니다.a?c (ac, abc, bc) .. *바로 앞에 문자가 없거나 하나이상 반복을 의미 합니다.ab* (a, ab, aaa) .. +바로 앞에 문자가 하나이상 반복을 의미 합니다.ab+ (ab, abb, abbb) .. ^문자열의 시작을 의미 합니다.^ab (abc, abcd, abcde) .. [^]^이후의 괄호안 형식을 제외함을 의미 합니다.[^ab]cd (ecd, fcd, gcd) ..$ 문자열의 끝을 의미 합..
링 크 https://market.android.com/details?id=com.dudu.muhanfree&feature=more_from_developer#?t=W251bGwsMSwxLDEwMiwiY29tLmR1ZHUubXVoYW5mcmVlIl0. 오.. 이런 게 있는 줄 몰랐다. 가끔 주 1회는 마켓 검색을 해야 할 것 같다. ^^ 달력 어플 필요하신 분들은 한 번 이용해 보시길 바래요~~
http://support.microsoft.com/kb/899869 참조할 것... cidaemon.exe 와도 관련 있음.
참조 링크 http://androidhuman.tistory.com/entry/%ED%94%84%EB%9E%98%EA%B7%B8%EB%A8%BC%ED%8A%B8Fragment-%EC%A0%95%EB%B3%B5-1-%ED%94%84%EB%9E%98%EA%B7%B8%EB%A8%BC%ED%8A%B8-%EB%84%88%EB%8A%94-%EB%88%84%EA%B5%AC%EB%83%90 http://androidhuman.tistory.com/entry/%ED%94%84%EB%9E%98%EA%B7%B8%EB%A8%BC%ED%8A%B8Fragment-%EC%A0%95%EB%B3%B5-2-%ED%94%84%EB%9E%98%EA%B7%B8%EB%A8%BC%ED%8A%B8-%EC%9E%90%EC%84%B8%ED%9E%88..
나는 안랩이 좋다고 생각했는데 보니까 그게 아니다..;;;;; 미국, 독일, 일본, 체코 같은 나라에서 나온 백신 프로그램이 훨씬 좋은 성능이 있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해킹이 잘되는건가??ㅡ.ㅡ;;;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위해 목표는 구체적(Specific)이어야 하고, 측정가능(Measurable)해야 하고, 행동지향적(Action-Oriented)이어야 하고, 현실성(Realistic)이 있어야 하고, 적시성(Timely)이 있어야 합니다. 이것은 첫 글자를 따서 “SMART 목표”라고 합니다. 2~3년 내의 단기 목표나 일년 안의 목표일수록 SMART해야 합니다. 사명과 비전은 일생의 목표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기간별로 구분한 목표입니다. - 평생: 나의 사명과 비전 - 10년간씩, 80대까지: 내 생애별 목표 - 5~10년: 나의 장기 목표 - 2~3년: 나의 단기 목표 - 1년: 1년 간의 목표 목표를 정했으면 목표에서 눈을 떼지 마세요.
음.. 이 내용을 어디서 가져왔는지 전혀 기억이 안나고 모르겠다. 프로세스 : 문제식별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분석 -> 가설설정 -> 원인분석 -> 개선방안 -> 해결조치 문제해결 접근방식 Divide&Conquer 분석 : 문제를 작은 구간으로 나누어서 분석 Event 분석 : log,dump,trace 등 각종 기록 분석 Queue 분석 : 자원(cpu/network/memory/connection 등)의 대기행렬 분석. 병목파악 Event 분석 log : 시점별 이벤트. history dump : 특정 시점의 리소스 상태. snapshot trace : 리소스 활동상태 추적. profiling 안드로이드에서 주로 발생하는 문제 애플리케이션 응답없음(ANR) 시스템 응답없음(먹통, lock ..
LAN Search Pro LAN 내에 있는 공유 파일에 대한 검색 툴. 내부 네트워크에서 필요한 파일을 찾을 때 굉장히 유용하다. 다운로드 페이지 http://www.softperfect.com/products/lspro/ Good Software , Need Software.
출처 : http://samse.tistory.com/121#comment7314348 Product설정파일을 통해 환경변수를 설정하여 선택적으로 빌드가능 PRODUCT_NAME : 제품명 PRODUCT_DEVICE : 디바이스명 PRODUCT_LOCALE : 지역정보 PRODUCT_PACKAGE_OVERLAY : 대체될 resource가 있는 Path PRODUCT_PROPERTY_OVERRIDES : 추가될 system property 항목이며 /system/build.prop에 저장됨. PRODUCT_PACKAGES : 기본적으로 설치될 app 목록 전체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TARGET_BUILD_VARIANT에 따라서 System Property와 설치될 모듈을 결정합니다. 그 과정을 Mak..
출처:http://zeph1e.tistory.com/50 순수 자바 어플리케이션이라면 디버그가 꽤나 쉽지만 JNI를 쓴 앱에서 native쪽에서 죽는 문제를 디버그하려면 일단 눈물 부터 닦고 시작해야 하는 게 안드로이드다. 물론 이전에 쓴 안드로이드 Native단에서 GDB로 디버그하기의 방법으로 gdb로 편하게 디버그 할 수도 있지만, 세상일이 언제나 호락호락하게 이쪽 형편에 맞춰 주는 게 아니라서, 가령 특정 단말에서만 Native에서 죽는데 단말 바이너리가 개발용이 아니라서 gdbserver가 탑재 되어 있지도 않고 탑재 시킬수도 없는 상황이라든가 디버그하다가 오히려 gdbserver가 미쳐서 세그멘테이션 폴트로 계속 죽는다든가 뭐 그런 상황이 언제든지 찾아 올 수 있다. 안드로이드 앱이 nativ..
유용한 레지스트리 가 있음. 혹시 잘 안되면 아래 내용을 직접 레지스트리에 넣어줍시다.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HKEY_CLASSES_ROOT\*\shell][HKEY_CLASSES_ROOT\*\shell\executecmd] @="Open Command Line on this Location"[HKEY_CLASSES_ROOT\*\shell\executecmd\command] @="cmd.exe"[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executecmd] @="Open Command Line on this Location"[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executecmd\command] @="cmd.e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