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
- 하버드
- 자바
- mime
- 안철수
- charset
- java
- 안드로이드 개발
- Android 4.1
- Leak
- Android
- 리눅스
- C++
- 탐지기법
- OOM
- 안드로이드
- 개발
- ActiveMovieControl
- kotlin
- ActiveX
- KTS
- gradle
- Eclipse
- 구글
- 노개북
- 코틀린
- 보안
- linux
- build.gradle
- Today
- Total
목록Android Development (78)
꿈소년의 개발 이야기
* link site * http://eclipse.org/mat/ http://android-developers.blogspot.com/2011/03/memory-analysis-for-android.html http://www.google.com/events/io/2011/sessions/memory-management-for-android-apps.htmleclipse MAT를 이용하여 메모리 덤프 분석 및 누수 검출. * Memory Leak 과 관련한 사이트 http://www.youtube.com/watch?v=_CruQY55HOk - Patrick Dubroy app memory 관리에 대한 동영상http://developer.android.com/resources/articles/avoid..
바인더가 처리할 양이 너무 커서 나타나는 exception 이다. 보통 1mb 이내에 처리가 되어야 하는데 그 크기가 넘어서 생기는 문제이다. 보통 쿼리를 던지거나 Parcel 로 큰 값을 던지는 경우에 발생한다. 처리하는 부분을 다시 다듬어서 불필요하게 버퍼를 차지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하 내용은 좀 더 간략한 overview 이다. The Binder transaction failed because it was too large.During a remote procedure call, the arguments and the return value of the call are transferred as Parcel objects stored in the Binder transaction buffer..
AbsListView -- ListView public void setTextFilterEnabled (boolean textFilterEnabled) 쿼티 자판에서 글자를 누르거나, 혹은 소프트 키보드에서 자판을 누를 때 그 값을 필터 윈도우로 보여줄 것인지 여부를 세팅하는 메서드.
1. Options -> Custom Commands2. Run : "C:\Program Files\Vim\vim73\gvim.exe" +%l %f 입력.Output, Control 항목들 전부 해제.3. 저장 후 Key Assignments -> 해당 항목 찾아서 키 설정해줌. 4. 파일 열어서 해당되는 단축키 실행하면 GVIM 연동하여 파일 열림.
Activity 가 orientation 을 할 경우, ICS 에서 추가적으로 해줘야 할 경우가 하나 있다. Fragment 를 어떻게 처리 할지 에 대한 것인데, 아래 주소를 참조하여 공부해볼 것. http://developer.android.com/resources/samples/ApiDemos/src/com/example/android/apis/app/FragmentRetainInstance.html 이게 중요한 건 Fragment 를 통해서 가져온 데이터를 유지하냐는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인데, 뭐랄까.. 좀 더 유연하게 데이터를 가지고 놀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신경 쓸게 점점 많아지는게 요새 안드로이드의 추세라서... 이제 안드로이드가 자바로 만들어졌다고 너무~ 쉽게 생..
참조 : http://android-developers.blogspot.com/2011/11/jni-local-reference-changes-in-ics.html JNI local reference 와 관련하여 ICS의 변경사항 및 버그 이슈들에 대한 내용. ENG 와 User 모드일 때 동일한 어플이 다른 실행을 보이는 경우에 간혹 dalvikVM 에서 VM aborting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한 내용으로 다른 참조 내용이 있다. 1.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7864614/android-jni-getobjectclass-crashes-with-sigsegv-not-a-valid-jni-reference JNI 관련 에러에 대한..
참조 : http://samse.tistory.com/121 여기로 가서 보면 빌드 시스템에서 설정된 변수들의 내용과 빌드 시 이동되는 순서가 나와 있다.
출처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718775/define-indirect-subclass-in-android 간단한 설명으로.. class 가 하나 있다. 이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가 되는 자식 클래스는 direct subclass 가 된다. 반면, 이 클래스가 조부모 클래스가 되는 손자 클래스들이 있다. 그게 indirect subclass 가 된다.
Fragment는 Activity와 메뉴 구현 법이 99% 같으나, setHasOptionMenu 를 미리 선 호출하여 메뉴에 대해 기존 것을 이어 받을 것을 선언해주고 구현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onCreate() 부분과 onDestroy() 부분에 setHasOptionMenu 에 대해 true, false 를 각각 넣어 적용해야 합니다.. 참조 : http://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fundamentals/fragments.html Adding items to the Action Bar 섹션을 보면 onCreateOptionMenu()를 통해서 메뉴 생성하는 법은 같지만, 반드시 setHasOptionsMenu를 불러 true를 넣어줘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